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<br> <br>경제산업부 강유현 기자 나왔습니다 . <br> <br>Q. 강 기자 부른 이유가 금리 어떻게 될지가 너무 궁금해서요. 6번 연속 올랐긴 했지만, 빅스텝 안 하고, 베이비스텝 간 건 꺾인 건가요? <br><br>[기자]<br>한국은행이 속도 조절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작년 8월부터 기준금리가 인상됐는데, 한국은행이 최근 여섯 번 연속으로 올렸습니다. <br> <br>이번에 0.25%포인트 올린 '베이비스텝'을 밟은 건 한국과 미국 모두 물가상승률이 둔화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고요.<br> <br>이달 초 미국 기준금리 결정 이후 환율 급등세가 진정된 점도 반영됐습니다.<br><br>한미 간 금리 격차를 좁혀야 한다는 압박감에서 조금 벗어난 겁니다. <br> <br>오히려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둔화, 가계부채 부실 우려가 고려된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Q. 어디까지 오를지가 관심인데, 금통위원들이 최종 어디까지 갈지 이야기를 나눴다면서요? <br><br>금통위원은 이창용 총재 포함 총 7명인데요.<br> <br>오늘 금통위에서 3명은 최종금리로 연 3.5%, 1명은 현 금리인 3.25%, 2명은 최대 3.75%를 제시했습니다.<br><br>이 총재는 의견을 제시하지 않았습니다.<br><br>전문가들은 내년 상반기까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후 당분간 고금리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Q. 당연히 물가가 좀 꺾여야 금리를 내릴 수 있겠죠? 어느 정도 안정되면 금리가 내려갈 수 있답니까? <br><br>이 총재는 오늘 금리 인하 논의는 "시기상조"라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해야 금리 인하를 논의할 수 있단 건데요. <br><br>한은의 물가상승률 목표치는 2%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전망치가 올해 5.1%, 내년 3.6%입니다.<br> <br>경기 둔화로 수요가 커진 건 아닌데, 전기·가스 요금과 가공식품 가격 등이 줄줄이 오르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Q. 여튼 올해 금리는 3.25% 이걸로 끝인 거죠? <br><br>다음 달 열리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, FOMC 회의를 봐야할 것 같습니다. <br> <br>한국은행의 금통위는 3, 6, 9, 12월을 빼고 열리는데요. <br><br>올해 예정된 금통위는 오늘이 마지막이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다음 달 열리는 미국 FOMC에서 예상을 깨고 5번 연속 0.75%포인트 올리는 '자이언트 스텝'을 밟으면 한국은행이 임시 금통위를 열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습니다.<br> <br>다만 이 총재는 "가능성은 적다"고 밝혔습니다.<br><br>오늘 새벽에는 미국 FOMC의 최근 의사록이 공개됐는데요, 다수 위원들이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춰야 한다고 주장한 만큼, 다음 달 미국이 0.5%포인트 올리는 '빅스텝'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리하면, 한국 기준금리 인상 속도는 꺾이지만 당장 내려가긴 어렵다는 겁니다. <br> <br>Q. 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.